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

Adrenergic Transmission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 콜린성 작용기전을 배웠으니 이번엔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을 적어보겠다. 콜린성 작용기전을 아직 보고 오지 않았다면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아드레날린과 교감신경 아드레날린성 전달은 노르아드레날린에 의한 신경전달을 말한다. 즉 신경전달 물질이 노르아드레날린 NE(NA라고도 함)인 것이다. 콜린성에서의 신경전달 물질은 Ach이었다. >>> Cholinergic Transmission 콜린성 작용기전 Cholinergic Transmission 콜린성 작용기전 전 글에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직 보지 않았다면 보고 오면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신경전달물질은 Ach 아세틸콜린, NE 노르아드레날 er-nurse-ggugan.tistory.com 아드레날린.. 2023. 6. 19.
Cholinergic Transmission 콜린성 작용기전 전 글에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직 보지 않았다면 보고 오면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신경전달물질은 Ach 아세틸콜린, NE 노르아드레날린이 있고 각각 부교감신경, 교감신경의 전달물질이다. Cholinergic : Ach을 유리시키는 신경섬유 그럼 오늘은 부교감 신경과 관련된 내용이겠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들어가기 전 부교감 신경계의 신경전달 그림을 한번 보고 시작하겠다. Ach 수용체 시냅스를 그린 것이다. 제일 위에 첨부한 그림인 부교감 신경계 신경전달의 Ach 분비되고 있는 부분을 확대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presynaptic axonal terminal : 시냅스 전 축삭 말단 synaptic vesicle : Ach을 저장.. 2023. 6. 18.
Receptor 수용체 이 전글에서 간단하게 지나갔던 부분인 ‘수용체’에 대해 정리해 보겠다. 이 전글은 ▶ 세포끼리 소통하는 법 세포끼리 소통하는 법 알파, 베타를 알아보는 길은 매우 먼 것 같다. 수용체에 대해 알아본 후 찐인 알파, 베타가 나올 것 같다. 그전에 알아야 할 내용은 세포 간의 이동이다. 이 글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알아볼 것이 er-nurse-ggugan.tistory.com 전글에서 말한 것과 같이 Cell은 chemical messenger를 분비하여 뜻을 전하고 다른 cell은 receptor를 통해 그 뜻을 받아들인다. 그렇게 수용체와 결합하여 어떠한 반응을 나타낸다. 여기서 수용체와 결합하자마자 세포가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이차적인 세포전달(다운스트림)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 부분은 추후 알아.. 2023. 6. 17.
세포끼리 소통하는 법 알파, 베타를 알아보는 길은 매우 먼 것 같다. 수용체에 대해 알아본 후 찐인 알파, 베타가 나올 것 같다. 그전에 알아야 할 내용은 세포 간의 이동이다. 이 글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수용체는 받는 역할이니 당연히 주는 역할이 있어야 활성화될 것이다. 세포 간의 전달 각각의 기관은 각각의 기능이 있다. 예를 들면 췌장 세포는 소화 효소 분비에 특화되어 있고 근육은 수축, 지방 세포는 에너지 저장하고 신장은 배설 etx. 하지만 각 기관 스스로가 독단적으로 기능을 하진 못한다. 신장이 '나 배설해야지~'하고 배설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한 세포가 필요한 것이 있으면 다른 세포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그 도움을 줄 수 있는 세포가 대답을 한다. 모든 세포가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것은 아니고 다.. 2023.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