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

용량에 따라 효과가 다른 Dopamine Dopamine 공부를 하다보면 renal dose를 보기도 햇을 것이고 임상에서 대부분 CAG 시술후 혈압 저하가 있을 때 주입하며 오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dopamine은 일하면서도 자주 접하게 된다. 용량에 따라 효과가 다른데 왜 그런지 어떻게 다른 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파민은 NE의 화학적 전구물질이다. 이 전글인 2023.06.19 - [분류 전체보기] - Adrenergic Transmission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 을 읽어본다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drenergic Transmission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 콜린성 작용기전을 배웠으니 이번엔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을 적어보겠다. 콜린성 작용기전을 아직 보고 오지 않았다면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아드레날린.. 2023. 6. 27.
Intubation 기관 내 삽관 기관 내 삽관이란? 환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기관 속에 튜브를 삽입하여, 성대 사이의 후두를 통해 기관에 삽입되는 것이다. 가장 확실한 기도유지 방법이며, 병원에서의 심정지 상황에서 흔히 사용하는 응급소생대책이다. 응급실에서 CPR의 경우 간호사들이 여러 명이 한꺼번에 monitor, Inbuation, IV keep 등의 일을 한다. 각자 맡은 역할이 있다기보다는 알아서 비어있는 자리를 채운다고 해야 할까? 신규 때는 어떻게 뭘 해야 할지 몰라 뒤에서 쳐다보기만 하기도 한다. ALS, ARDS 등의 환자 중 CO2가 너무 차서 mental change일 경우 Intubation이 제일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고려해야 한다고 하는 것은 Intubation을 하고 대부분 인공호흡기를 적용하게 되.. 2023. 6. 22.
α1 receptor vs β2 receptor [알파 수용체 vs 베타 수용체] α1과 β2는 둘 다 혈관에 위치한다. 서로 작용이 다른 두 수용체가 어떻게 혈관운동을 작용시키는지 알아보겠다. 편하게 기록하기 위해 알파 = A, 베타 = B로 적겠다. Receptor 수용체 혈관이 있고, 혈관벽은 평활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활근 세포막에 A1, B2 receptor 즉, 알파1, 베타2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자극을 받으면 A1 receptor는 평활근을 수축시켜 혈관 수축이 일어난다. 반면, B2 receptor는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관 확장을 유발한다. A1 receptor와 B2 receptor가 둘 다 자극되면 A1 receptor의 효과가 더 우세하다. 즉, A1과 B2가 서로 열심히 본인의 일을 해도 A1의 힘이 더 센 것이다. 그래서 A1 receptor와 B2 rec.. 2023. 6. 21.
아드레날린성 약물 Adrenergic Medication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에 대해 알아보았다. ≫ Adrenergic Transmission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 Adrenergic Transmission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 콜린성 작용기전을 배웠으니 이번엔 아드레날린성 작용기전을 적어보겠다. 콜린성 작용기전을 아직 보고 오지 않았다면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아드레날린과 교감신경 아드레날린성 전달은 er-nurse-ggugan.tistory.com NE 분비과정에서의 아드레날린성 약물 작용기전을 생각하면 어떻게 약물들이 어떤 방식으로 작용기전에 영향을 주는지 예상될 것이다. AMPT 알파-메틸-p-티로신 alpha-methyl-p-tyrosin (AMPT)은 tyrosine hydroxylase 효소 억제제이다. AMPT를 알기 위해서는 Tyrosin.. 2023. 6. 20.